[목차]
연봉 실수령액
연봉 실수령액은 근로자들이 받게 되는 임금, 연봉이랑 실수령액을 매우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받는 연봉은 적힌 금액 그대로 받는 것이 아니라, 세금을 제외하고 내야 하는 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받게 됩니다. 이를 실수령액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퇴직금을 포함하여 연봉 계산을 하는 것은 매우 머리가 복잡하기 때문에, 오늘 이 글에서는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과 실수령액표와 퇴직금까지 포함하여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모음
다양한 곳에서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잡코리아가 있습니다.
1. 잡코리아 연봉 실수령 계산기
2. 네이버 연봉 실수령 계산기
3. 다음 연봉 실수령 계산기
위와 같은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통하여 자신의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
연봉을 이야기할 때, 세 전 연봉과 세 후 연봉, 그리고 본인의 기본 급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연봉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세전 연봉
세전 연봉은 세금을 제외하기 전에 받는 연봉을 이야기합니다. 보편적으로 은행에서 연봉과 소득을 이야기하면 세전 연봉을 이야기하며, 세후 연봉인 세금을 제외한 연봉일 경우에는 성과급과 다양한 수당을 제외해도 사람마다 세금을 내야 하는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큰 차이가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에서 이야기하는 연봉인 경우에는 세전 연봉으로 비교합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는 자신의 소득에 따라서 세금을 내는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세금을 제외한 연봉으로 비교하게 되면 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세전 연봉일 경우에는 사업자가 고용자한테 지급하는 돈의 총금액을 이야기합니다. 세후 연봉은 자신이 실제로 지급받는 총금액을 이야기합니다. 두 가지의 차이로는 세금이랑 보험료 등 다양한 부분에서 차이가 납니다.
연봉 구성
연봉의 구성으로는 근무자가 1년 동안 총 받는 금액을 이야기합니다. 총연봉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자신의 기본급여: 계약서에 적혀있는 급여
자신의 보너스: 자신이 성과를 냈을 때 추가적으로 받는 돈
자신의 수당: 야근 수당이나, 교통비, 식대 등을 포함한 수당
총 연봉
총연봉은 자신이 세금을 제외하지 않은 돈을 이야기합니다. 보너스와, 수당을 포함한 돈입니다.
세금 항목
자신이 받는 총 연봉 금액에서 제외되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보험:3.54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에서 12.95%
고용보험: 0.9%
소득세와 지방소득세:소득마다 차이가 나며, 연소득에 따라서 6%부터 45% 사이입니다.
국민연금: 4.5%
연봉 실수령액 참고
2024년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으로 알아두면 좋습니다. 그리고 부양가족 공제 혜택이 존재합니다. 자신이 부양하고 있는 가족의 수와, 자녀 수에 따라서 세금 공제 혜택이 적용되기 때문에, 실수령 금액이 달라집니다.
연봉 실수령액 정리표
연봉 실수령액 정리표 바로가기를 통하여 더 많은 연봉 실수령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정리표를 통하여 자신이 받는 연봉의 실수령액, 공제액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마무리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통하여 자신의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세금 공제 부분과 소득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달라지며, 위와 같은 연봉 실수령액 계산을 이해한 뒤 잘 사용하면 자신의 연봉 상태와 다양한 급여 정보를 확인하는 데 좋습니다. 이러한 글을 통하여 연봉 실수령액을 자세하게 이해하고 앞으로 연봉 인상이 되었을 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연봉 실수령액 계산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